전류 (Current) 전류란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말하면, 전하의 흐름입니다. 예를 들어, 전지나 배터리에서 전자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류라고 합니다.
전류의 방향: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입니다.
전자의 이동 방향: 전지의 (-) 극에서 (+) 극으로 향합니다.
전류의 이동 방향: 전지의 (+) 극에서 (-) 극으로 향합니다.
★ 왜 전자의 이동 방향과 전류의 이동 방향이 반대일까요? 과학자들은 전자의 존재를 알기 전에 전류의 방향을 (+) 극에서 (-) 극으로 정했습니다. 그 후, 전류는 전자의 흐름이고, 전자는 (-) 극에서 (+) 극으로 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편의상 전류의 방향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과 전자의 이동 방향이 반대로 된 것입니다.
전류의 세기 (I): 1초 동안 전선의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의 양을 의미합니다.
단위: A(암페어), mA(밀리암페어) → 1A = 1000mA
(1A는 1초 동안 도선의 단면을 6.25 x 10^18개의 전자가 통과할 때의 전류 세기를 나타냅니다.)
전압 (Voltage) 이제 전압에 대해 알아볼까요? 전기 회로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비유를 들어보자면, 펌프로 물을 끌어올리면 물의 높이 차이 때문에 생긴 수압에 의해 물이 흐르는 것처럼, 전기 회로에서는 전지의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릅니다.
전압의 단위: V(볼트)
물의 흐름 전류 물레방아 전구 물의 높이 차 전압 펌프 전지 수도관 도선 밸브 스위치
구분
전류계
전압계
차이점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는 도구 ·전기 회로에 직렬로 연결한다.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도구 ·전기 회로에 병렬로 연결한다.
공통점
·(+)단자는 전지의 (+)극 쪽에 연결하고, (-)단자는 전지의 (-)극 쪽에 연결한다. ·전류와 전압을 예상할 수 없을 경우, (-)단자 중 최대 전류값 또는 최대 전압값이 가장 큰 단자부터 연결한다.
B. 전류와 전압의 관계
전기 저항 (Resistance)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저항의 단위는 옴(Ω)이며, 1Ω은 1V의 전압을 걸었을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선의 저항을 의미합니다.
전기 저항이 생기는 이유: 전류가 흐를 때 전자들이 이동하면서 원자와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멀티탭에 여러 전기 기구를 함께 연결해도 각 전기 기구 에 220V의 같은 전압이 걸린다.
건물의 전기 기구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 따로 켜 거나 끌 수 있다.
한개의 가로등이 고장나도 나머지 가로등에는 영향을 미 치지 않는다.
병렬연결의 장점
같은 전압 걸림: 병렬연결된 저항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같은 전압을 받습니다. 즉, 저항의 수가 얼마나 많던지 간에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동일합니다. 이것은 전압의 일관성을 유지해주며, 하나의 저항을 제거하더라도 나머지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는 변화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저항의 합성: 병렬연결된 저항들의 합성 저항은 개별 저항의 역수들의 합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이로 인해 병렬연결된 저항의 총 저항은 개별 저항들 중 가장 낮은 저항값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성능 유지: 병렬연결된 저항 중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저항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전체 회로의 성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병렬연결된 전구들 중 하나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전구들은 여전히 작동하여 전체 조명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병렬연결은 전기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같은 전압을 유지하면서도 저항의 합성 효과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전류 분배를 가능하게 하며, 장애 발생 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병렬연결의 장점은 전기 회로 설계와 응용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렇게 전류와 전압의 관계, 그리고 저항의 연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기 회로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면서, 전기에 대한 지식을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