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반도체 업계에서 "유리기판"이 차세대 패키징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유기물(PCB) 기반 기판 대신 유리를 활용함으로써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고성능 반도체 구현이 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반도체 유리기판 기술의 특징과 장점, 주요 기업들의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기존 반도체 패키징은 주로 유기물(Organic Substrate) 기판을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반도체가 점점 더 고성능·고집적화됨에 따라 신호 간섭, 발열 문제, 전력 손실 등의 한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AI,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자동차, 5G·6G 통신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이 발전하면서 반도체 성능의 요구 수준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력 효율성을 개선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판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유리는 기존 유기기판보다 더욱 얇고 평탄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미세한 배선 패턴을 더욱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칩 간 신호 전송 거리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2.5D 및 3D 패키징 기술과 결합할 경우, 다층 구조로 더욱 높은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유리는 낮은 유전손실(Df)과 높은 유전율(Dk)을 갖고 있어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의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고주파,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AI,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에 최적화된 솔루션입니다. 기존 유기기판 대비 전기적 신호 전송 속도가 50% 이상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도체 칩의 발열 문제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유리는 높은 열 저항성과 방열 성능을 갖고 있어 기존 유기기판 대비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GPU, CPU, FPGA 등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 유기기판은 환경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지만, 유리기판은 친환경적이며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을 강화하는 기업들에게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기기판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화학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삼성전자는 2023년 8월 세계 최초로 "반도체 유리기판" 개발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삼성은 이를 통해 차세대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을 선점할 계획입니다. 유리기판은 향후 AI 서버, 데이터센터 등 고성능 반도체 제품군에 적용될 전망입니다. 또한, 삼성은 대량 생산을 위한 생산라인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텔 역시 유리기판 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차세대 칩렛(Chiplet) 기반 반도체 패키징 기술과 결합할 계획입니다. 특히 인텔은 유리기판을 통해 성능 향상을 극대화하면서도 생산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텔은 유리기판이 기존 패키징 기술 대비 최대 10배 이상의 배선 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TSMC, 퀄컴, SK하이닉스 등도 유리기판 관련 기술 개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삼성전자가 가장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유리기판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일본 및 유럽의 반도체 소재 기업들도 유리기판 관련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향후 협력 및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반도체 업계에서 유리기판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고성능 반도체의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AI, 클라우드 컴퓨팅, 6G 통신 등의 분야에서 유리기판의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입니다. 또한, 기존 반도체 패키징 공정과의 호환성을 높이는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유리기판은 단순한 소재 변화가 아니라, 반도체 패키징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반도체 시장에서 유리기판이 어떻게 자리 잡을지 기대해봅니다!
📢 여러분은 유리기판 기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반도체]트랜지스터 소형화의 물리적 한계 (0) | 2025.03.03 |
---|---|
AI 반도체: 인공지능 혁명을 이끄는 핵심 기술 (0) | 2025.02.07 |
2나노미터(nm) 공정 기술의 발전과 전망 (8) | 2025.02.01 |
[공부] P형 반도체 (0) | 2024.05.12 |
[공부] HBM 왜 유명한가. (0) | 2024.03.31 |